분류 전체보기71 [Linux7] Swap Space 관리 Linux의 스왑 공간은 실제 메모리(RAM)가 가득 차면 사용됩니다. 시스템에 더 많은 메모리 리소스가 필요하고 RAM이 가득 차 있으면 메모리의 비활성 페이지가 스왑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스왑 공간은 RAM이 적은 시스템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더 많은 RAM을 대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스왑 공간은 실제 메모리보다 더 느린 액세스 시간이 있는 하드 드라이브에 있습니다. 스왑 공간은 전용 스왑 파티션(권장), 스왑 파일 또는 스왑 파티션과 스왑 파일의 조합일 수 있습니다. vGPU 는 스왑 공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지난 몇 년 간 권장 스왑 공간은 시스템의 RAM 양과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최신 시스템에는 수백 기가바이트의 RAM이 포함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권장되는 스왑 공간은 .. 2025. 3. 24. [Linux] 메모리 buffer/cache 비우기 리눅스(linux)에서 top이나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버퍼와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파일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성능을 빠르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너무 많아지면 가용 메모리의 부족으로 다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래서 버퍼/캐시의 사용량이 너무 높을 경우 해당 기능을 끄거나, 주기적으로 비움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아래 명령어로 캐시를 비울 수 있다. sync를 사용하는 이유는 캐시 메모리에 올라간 데이터를 디스크로 옮겨준다. 이 과정을 거치치 않고 캐시를 삭제하면, 데이터가 유실될 수도 있다.pagecache 비우기syncecho 1 > /proc/sys/vm/drop_caches또는syncsysctl -w vm.drop_caches=1dentries, i.. 2025. 3. 22. [Linux] 스토리지 장치 제거 ##정상 삭제 절차## [확인] # multipath -ll >> 삭제 WWN 정보 및 디스크 정보 확인 360002ac000000000000002650001aba2 dm-2 3PARdata,VV size=2.0T features='1 queue_if_no_path' hwhandler='1 alua' wp=rw `-+- policy='round-robin 0' prio=50 status=active |- 1:0:0:0 sdb 8:16 active ready running |- 3:0:0:0 sdc 8:32 active ready running |- 1:0:1:0 sdk 8:160 active ready running `- 3:0:1:0 sdj 8:144 active ready running # lvs.. 2025. 3. 21. [Linux] lsscsi lsscsi목차1) 서론2) 개요3) 명령줄 인터페이스4) 운송4.1) ATA(국제공동개발회의)4.2) FC(축구)4.3) 13944.4) iSCSI는4.5) PCIe(NVMe)4.6) SAS(SAS)4.7) SATA4.8) 스피(SPI)4.9) 서비스 리플(SRP)4.10) USB5) 예6) 다운로드 및 빌드 정보6.1 ) Github 미러1) 서론lsscsi 명령 은 Linux의 SCSI 장치에 대한 정보를 나열합니다. SCSI 용어를 사용하여 lsscsi는 SCSI 논리 단위 (또는 '--transport' 옵션이 제공된 경우 SCSI 대상 )를 나열합니다. 기본 동작은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각 SCSI 장치에 대해 한 줄의 출력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 유틸리티의 버전 0.30에서는 NVMe 네임.. 2025. 1. 21. [Ubuntu] Ethernet, Bonding 설정 OS버전: 24.04.1 LTS Ethernet 1. 설정파일 수정# 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network: ethernets: ens33: // 수정할 이더넷이름 dhcp4: no // IP자동 할당 여부 addresses: - 192.168.10.155/24 // 고정할당할 IP주소 routes: - to: default via: 192.168.10.2 // NAT 설정에 맞게 gateway 수정 nameservers: // 네임서버 설정 addresses: - 8.8.8.8 - 8.8.4.4 search: [] version: 2 2... 2024. 11. 24. [Linux] network-scripts의 ifcfg 인터페이스 항목 ifcfg 파일은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로, 각 항목은 네트워크 장치가 어떻게 동작할지 결정합니다. 여기서는 ifcfg 파일에서 사용되는 주요 항목들을 설명하겠습니다. 이 항목들은 인터페이스의 종류 (유선/무선, DHCP/정적 IP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ifcfg 인터페이스의 모든 주요 항목 설명DEVICE설명: 이 설정 파일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장치의 이름입니다.예시: DEVICE=eth0, DEVICE=wlan0BOOTPROTO설명: IP 주소 할당 방법을 정의합니다.값:none: IP를 수동으로 설정할 때 사용.dhcp: DHCP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IP를 할당받을 때 사용.static: 정적 IP 주소를 설정할 때 사용.IPADDR설명: 정적 IP 주소.. 2024. 10. 23. [RAID] MegaCLI, StorCLI 차이점 MegaCLI와 StorCLI는 모두 LSI/MegaRAID 기반의 RAID 컨트롤러를 관리하는 명령줄 도구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RAID 설정, 상태 조회, 유지보수 작업 등을 할 수 있지만, MegaCLI는 더 오래된 도구이고, StorCLI는 최신 도구로 점차 MegaCLI를 대체하고 있습니다.MegaCLI와 StorCLI의 차이점1. 출시 시기 및 지원MegaCLI: MegaCLI는 LSI/MegaRAID RAID 컨트롤러를 관리하기 위한 오래된 명령줄 도구입니다. LSI의 초기 RAID 컨트롤러 시리즈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기존의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여전히 지원되고 있지만, 최신 RAID 컨트롤러나 소프트웨어 환경에서는 점점 사용이 줄어들고 있습니다.Sto.. 2024. 10. 18. [RAID] MSM(MegaRAID Storage Manager), MegaCLI 차이점 MegaRAID Storage Manager(MSM)와 MegaCLI는 모두 LSI/MegaRAID 기반의 RAID 컨트롤러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능과 사용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MegaRAID Storage Manager (MSM)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MSM은 사용자가 쉽게 RAID 설정과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드라이브, RAID 어레이, 상태, 로그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쉽고 직관적: GUI 환경이므로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경험이 적은 사용자도 쉽게 RAID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원격 관리: 로컬 시스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도 다른 시스템의 RAID 컨트롤러를 관리할 수 있.. 2024. 10. 18. [Linux] 프로세스 확인(ps) 및 종료(kill) 명령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 ps -ef | grep [실행한 파일 이름](예) # ps -ef | grep java # ps -ef | grep python 종료를 하기위해 PID가 필요. 계정명 옆에 숫자가 PID종료 명령어# kill -9 [PID]-9 : 강제 종료-15 : 작업 종료 2024. 10. 10. [Linux] IPMI (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 IPMI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ipmitool IPMI 정보 확인# ipmitool lan print System power 상태 확인# ipmitool chassis statu System sensor 상태 확인# ipmitool sdr list System Event log 상태 확인# ipmitool sel list 2024. 10. 10. 이전 1 2 3 4 ··· 8 다음